웹 
요청과 응답이 일어나는 장소 
요청 : 클라이언트가 하는 것  
클라이언트 
사용자, User, 브라우저, 고객 
서버에게 요청을 함 
웹 브라우저 
응답해주는 페이지를 보여주는 V 공간 
구조 : HTML 
스타일 : CSS 
동작 : JS 
서버 
(클라이언트가 수행한) 요청에 대한 응답을 함 
요청받은 서비스를 응답 
URL 
요청 정보 
요청에 대한 페이지 위치 정보 
프로토콜(protocol) 
- 약속, 통신규약 
http:  
hypertext transfer protocol 
일반적인 웹 텍스트 문서로 통신했기 때문에 탈취가 용이했다 (보안 약함) 
https:  
hypertext transfer protocol secure socket 
SSL(secure socket layer) 
웹 페이지 텍스트 문서 자원을 암호화 계층을 추가하여 보안 강화 
-> 공개키 방식 
IP와 도메인 
PK 고유번호 
IP 주소란? 
- 네트워크 상에서 인터넷에 접속하는 컴퓨터를 구분하기 위해 사용하는 고유번호 
ip가 고갈 될 상황이 있어서 ipv6를 개발하였지만, 돈과 기존의 것들을 버릴 수 없어서 
난감했는데, 사설ip의 개발로 인해 해소됨 (공유기) 
도메인이란? 
- IP 주소를 기억하기 어려우니까, 이름을 부여 
- IP에는 .이라는 특수기호가 포함되어있기 때문에 도메인 이용이 권장됨
'개발자노트 > 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웹 프로젝트 기본예제1 + 이미지 삽입 (0) | 2022.07.18 | 
|---|---|
| 웹 프로젝트 생성법 (0) | 2022.07.18 | 
| 이클립스에서 톰캣연동 (0) | 2022.07.18 | 
| 웹 페이지 기본용어 (0) | 2022.07.18 | 
| 웹 크롤링 기본 개념 (0) | 2022.07.13 |